고주파 코일의 설계
고주파 코일의 설계
고주파 브레이징의 성공 여부는 가열코일(유도자)의 피가열물에 대한 크기 및 형상, 간격 등에 좌우된다.
가열코일은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어야 하고, 가열효율이 좋아야 하며, 기계적으로 강도와 정밀도가 있어야 한다. 가열코일은 보통 1회 혹은 수회 감은 통 파이프로 제작하고, 고주파 대전류가 흐르기 위해 수냉되어야만 한다.
간단한 형상의 경우는 코일설계가 쉽지만, 복잡한 형상의 경우는 코일의 설계가 어렵고 계산적으로 불가능하며, 경험과 숙련에 의지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가열코일의 기본적인 형상은 우측 그림에 표시한 것처럼 각각 피가열물의 외측, 내측, 평면에서 가역하는 방법이 있다.
(a)는 가장 기본적인 형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b)는 (a)와 비교하여 효율이 나쁘지만, 내부의 파이프가 가열되지 않은 경우에 사용된다.
(c)는 평면가열에 사용하거나, 가열코일의 이동없이 연속적으로 가열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가열코일은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어야 하고, 가열효율이 좋아야 하며, 기계적으로 강도와 정밀도가 있어야 한다. 가열코일은 보통 1회 혹은 수회 감은 통 파이프로 제작하고, 고주파 대전류가 흐르기 위해 수냉되어야만 한다.
간단한 형상의 경우는 코일설계가 쉽지만, 복잡한 형상의 경우는 코일의 설계가 어렵고 계산적으로 불가능하며, 경험과 숙련에 의지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가열코일의 기본적인 형상은 우측 그림에 표시한 것처럼 각각 피가열물의 외측, 내측, 평면에서 가역하는 방법이 있다.
(a)는 가장 기본적인 형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b)는 (a)와 비교하여 효율이 나쁘지만, 내부의 파이프가 가열되지 않은 경우에 사용된다.
(c)는 평면가열에 사용하거나, 가열코일의 이동없이 연속적으로 가열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코일 설계 예제


